황한의학 복증 읽기
주로 단방(單方)으로 구성된 습유편을 제외하면 황한의학 전체에서 제시된 처방은 220여방에 이른다. 이중 복증(腹證)이 기술된 처방은 29방에 불과하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설계도는 없다” -한의쉼터 조성 원장-
계지탕(계지 작약 생강 대조9 감초6)
나의 경험에 의하면 작약·대조·감초의 증에는 반드시 근육의 攣急함을 볼 수 있는데, 특히 유리상태를 이루를 복직근에서 가장 명확하게 촉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이 근육에 연급을 확인했을 때는, 이것을 3藥 응용의 목표로 해야 한다. 이 근육이 攣急하는 것을 세 약의 ‘복증’으로 본다.
그렇다면, 이 세 약을 함유하고 있는 계지탕의 증에서도 역시 복직근의 연급이 있게되는 터인 즉, 세 약의 복증은 즉 이 方의 복증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계지탕증 같은 비어혈성 복직근 연급은 반드시 우측에만 나타나고 좌측에는 나타나지 않든가, 아니면 나타난다 하더라도 우측에 비하면 심히 경도이고, 氣가 상충할 때도 반드시 우측을 따라 發하고 좌측을 따라 發하지 않는다.
이상 말한 것은 순전히 이론이고, 실제에 있어서는 사론師論에 따라 맥증·외증을 준거로 하여 본방을 응용해야 하며 복증은 묻지 않아도 좋지만 미리 이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한의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중경코드에 대한 추억(?) (0) | 2012.12.24 |
---|---|
병인(病因)과 처방(處方)의 치료 범위에 대하여 (0) | 2012.12.24 |
<책> 의학계열 학생을 위한 한방의학 강좌 (0) | 2012.12.24 |
의안을 공부하는 방법 (0) | 2012.12.24 |
환자를 치료하는 기술에 진전이 있으려면? (0) | 201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