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오적(崔致文) 활용방
당귀 천궁 작약 창출 후박 진피 반하 복령 백지 지각 길경1 마황0.8 건강 관계0.5 감초0.2 강3조2
해수 : 행인 상백피
風痺 : 강활 독활 방풍
허한으로 인한 사지골절통 : 강활 독활 천산갑
感風濕手膊 或痛 或木 或遍身痲木 : 강활 방풍 전갈
寒으로 인한 臂痛 : 초오
수족경련 : 빈랑 모과 우슬
허약인의 학질 초기 感寒 : 시호 황금 초과 빈랑 강3 蔥2
외감挾滯 : 산사 신곡 빈랑
動蛔 : 오매 천초
요통 : 우슬 두충 소회향
한습客於경락 요각산통 : 우슬 두충 강활 방풍
풍습流注로 兩脚酸痛 : 강활 독활 빈랑 오약 목향
風傷腎 腰左右無常强急 : 방풍 전갈
좌섬及어혈腫痛 : 減마황 +회향 빈랑 목향 도인 홍화
산후어혈挾滯 어혈복통 : 減마황 +산사2 현호색1
足浮腫 : 대복피
遍身痛 : 유향 몰약 세신
寒邪入侵 內傷生冷 肚腹동통 수족궐냉 : 倍건강 관계
山氣 冬節發病者(한사入방광) : 사삼 회향
婦人徑行時 肢體麻痛 한열두통목현(觸經感冒) : 感건강 +강활 독활 우슬 乾蔥
허한하여 帶下가 많은 경우 : 향부자 소회향 오수유
난산 : 육계 사향
胎死腹中 産母氣乏 産道乾澁 或수족냉복통 : 感마황 +초오 부자 남성 아교炒 목향 사인
용량 단위는 ‘錢’이고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원방에 해당 약재를 加합니다.
출처는 아래의 두 책을 참고했고, 내용에 차이가 있는 경우는 제가 취사선택했습니다.
순서도 병위를 고려해서 나름대로 변경했습니다. 오류는 댓글로 달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東醫새臨床處方集, 조세형 편저, 1971, 고려서점
論症實驗醫訣, 박의수 저, 1999, 삼원문화사
'한의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증을 파악하는 것'은 변증의 최고 수준 (0) | 2022.09.07 |
---|---|
인형(人型; 사람의 유형) (0) | 2022.09.07 |
허육미(許昌洙) 활용방 정리 (0) | 2022.09.06 |
정평진(鄭鳳作) 활용방 정리 (0) | 2022.09.06 |
김보익(金光益) 활용방 정리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