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의학 이야기

허육미(許昌洙) 활용방 정리

by 키다리원장님 2022. 9. 6.

허육미(許昌洙) 활용방

 

숙지황4 산약 산수유2 백복령 택사 목단피1.5

 

이명 : 당귀 천궁 백작약

허로夜嗽 : 오미자1.5

신허 火不歸經而喘急 : 육계 부자 오미자0.5

음허화동 尺脈偏盛 : 지모 황백0.5

폐신受傷 해수토혈 : 맥문동2 아교1.5

음허吐衄 : 현삼 백작약 맥문동2 지골피 오미자1

兼疸 : 인진호

房勞혹怒氣로 인한 兩脇脹痛 : 시호 당귀

소변빈삭 : 減택사 +익지인1.5

遺尿 每夜無度 : 減택사 목단피 +오미자 원지 녹각교

노인及잉부轉脬 : 倍택사

冷淋 先寒戰 不得洩 : 육계 부자0.5

尿濁 : 창출1 황백0.7 부자0.5

간신허쇠 遺精 : 익지인 오미자

신허精滑 : 연자육3 토사자2

腎虛 : 육계 오미자0.5

신허晨泄 : 토사자3 파고지2 오미자1

명문화쇠 脾土허한 설사 : 육계 부자0.5

요슬산통 : 우슬 두충1

脾腎大虛 복창부종 痰喘氣急 소변불리 : 우슬 차전자1.5

음허부종 : 減숙지황 +우슬 차전자 육계 부자

폐신구허 : 맥문동2.5 우슬2

허손勞熱 : 맥문동1.5 오미자1

陰虛陽衰 : 맥문동1.5 오미자0.5

酒色過度하여 兩目赤腫하고 尺脈洪大 按之微弱 : 맥문동 오미자

폐신양허 火不歸源 : 맥문동1.5 오미자 육계0.5

心腎不交 : 맥문동1.5 오미자0.5 원지1 

간신양허 : 당귀 작약2 육계0.5 (부인에 더욱 효과적)

명문화쇠 : 관계0.5

腎水부족 허화상염 : 육계0.5

脚氣上入 小腹不仁 : 육계 부자

男子消渴 飮一斗 : 육계 부자 오미자

 

傷寒過經에 虛熱不退로 口燥舌乾 脈虛 : 인삼 맥문동 진피之類

脾土虛寒은 無火之症이라 食入不消而反出하니 非氣膈所致라 : 육계 부자 兼服보중익기탕加半夏茯苓薑桂類

遍身作痛에 骨節尤甚하여 不能屈伸하고 口乾目赤 頭重眩暈 痰涎壅盛 胸膈不利 小便短赤 夜半尤甚 遍身作痒如虫行 : 시호 치자

 

용량 단위는 ‘錢’이고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원방에 해당 약재를 加합니다. 

출처는 아래의 두 책을 참고했고, 내용에 차이가 있는 경우는 제가 취사선택했습니다.

순서도 병위를 고려해서 나름대로 변경했습니다. 오류는 댓글로 달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東醫새臨床處方集, 조세형 편저, 1971, 고려서점

論症實驗醫訣, 박의수 저, 1999, 삼원문화사

 

☞ 김사물 활용방 정리 

 최오적 활용방 정리 

 허육미 활용방 정리 

 정평진 활용방 정리 

 김보익 활용방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