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환자에게 소화불량이 있는데, 이게 新加湯證인지, 吳茱萸湯證인지는
소화불량의 양상, 빈도, 정도를 주구장창 오랫동안 계속 물어본다고 결론이 나오는 게 아닌 것이죠.
(물론 충분히 물어볼 필요는 있고, 이게 우리가 하는 일 중에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하지만 질문을 하는 의사가 신가탕증과 오수유탕증을 알고 있어야,
지금 환자가 이야기하는 소화불량의 상변(常變)을 정해서 치료할 수 있는 것입니다.
신가탕(생강이 증량되어 어지럼증, 메슥거림이 있을 수 있음)에 해당하는 치료의 목표가 되는 소화불량(變)인지,
오수유탕(역시 두통, 현훈, 메슥거림이 있을 수 있음)에 해당하는 치료의 목표가 되지 않는 소화기의 더부룩함 정도(常)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죠.
처방의 최종 선정은 방(方) 단위에서만 이루어집니다.
이 환자는 신가탕의 적합도가 높은가? 오수유탕의 적합도가 높은가?
이런 식으로 처방의 최종선정은 방(方) 단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방(方)을 알아야 애매한 상변지간(常變之間)의 증상에 대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것입니다.
신가탕이나 오수유탕의 방증을 모르는 상태에서는 아무리 문진을 해도 답이 안 나옵니다.
"방(方)을 모르니까 증상의 상변(常變)이 구분되지 않는 것이다. 그 반대가 아니라..."
'한의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엉뚱한 이야기를 하지는 말자. (0) | 2022.09.16 |
---|---|
여기저기 복잡하게 아플수록 사실 더 치료가 잘 된답니다. (0) | 2022.09.16 |
한약은 오랜 경험과 정확한 관찰을 통해 축적된 '지혜의 보고' (0) | 2022.09.08 |
8주간 한약 먹었더니.. "지긋지긋한 어깨통증 확 줄었다" (0) | 2022.09.08 |
석고의 번갈(煩渴)은 현상에 불과하다. 석고 작용의 본질은? (0) | 202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