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의학 이야기

계지거작약탕(桂枝去芍藥湯)

by 키다리원장님 2012. 12. 24.

<계지거작약탕(桂枝去芍藥湯)>

太陽病, 下之後, 脈促, 胸滿者, 桂枝去芍藥湯主之. 若微惡寒者, 去芍藥加附子湯主之.
태양병에 하법을 썼는데, 맥이 빨라지면서 가슴이 그득하면 계지거작약탕으로 다스린다. 약간 오한이 들면 계지거작약가부자탕으로 다스린다.

상한론을 맘먹고 읽다보면 모든 사람들이 처음으로 막히는 부분이 계지거작약탕이죠. 맘먹고 시도하신 분들은 다 공감하실텐데요. 아닌가요?^^ 그래서 여러 주석서를 다 살펴봐도 납득이 가는 설명을 단 한군데서도 찾을 수 없죠. 저는 그랬습니다. 흉양(胸陽)이 부족하므로 산한(酸寒)한 작약을 뺀다. 정도의 설명. 글쎄요... 과연 그럴까요? 납득이 가시나요?

治桂枝湯證 而不拘攣者. (方極, 길익동동)

사람 몸이 이렇게 도식화될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동동의 희망사항일 뿐이죠.

계지거작약탕은 계지감초생강대조탕으로 이름을 바꾸는 것이 방의(方意)를 파악하기에 더 유리합니다.
계지감초탕(桂枝甘草湯)의 가미방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계지감초용골모려탕이 있는 것처럼, 계지감초생강대조탕이 있는 겁니다.

자감초탕 = 계지감초생강대조탕 + 맥문동 생지황 인삼 아교 마자인
구역탕 = 계지감초생강대조탕 + 용골 모려 촉칠
계지감초탕, 계지감초용골모려탕, 계지감초생강대조탕, 자감초탕, 구역탕. 모두 느낌이 비슷하잖아요. 가슴이 두근거리고 흉부에 문제가 있고 부정맥 등등.


계지감초탕이나 계지거작약탕을 만성 질환에 쓸 때는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조문에 기술된 것처럼 급성(急性)이나 아급성(亞急性)의 흉부질환에 사용할 때는 기전을 이해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發汗過多, 其人叉手自冒心, 心下悸, 欲得按者, 桂枝甘草湯主之.
땀을 너무 심하게 내서 환자가 양손을 포개어 자기 가슴을 눌러 덮는데, 명치끝이 두근거려 자꾸 손으로 누르려 하면 계지감초탕으로 다스린다.

계지감초탕증은 과도한 발한으로 일어나고, 계지거작약탕증은 태양병에 설사를 시켜서 나타났군요. 각각의 경우 체액의 이동을 머리에 그려보시면 됩니다. 거기서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