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의학 이야기

소아의 상세불명의 발열

by 키다리원장님 2022. 10. 27.

 

√ 악미중(岳美中) 선생은 체온이 40도까지 오르면서 발열이 반년 넘게 지속되어 각종 치료를 받았으나 효과가 없었던 14세 소녀를 치료함에 있어서 환자의 증상이 發熱 惡風, 때때로 땀이 나고, 脈浮緩, 渴不多飮, 二便自調, 舌苔淡黃色인 점에 착안하여 계지탕 원방을 처방하여 3첩으로 낫게 하였다.


√ 일주일째 하루 2번 일정한 시간이 되면 열이 나는 초등학교 1학년 남아

125cm(80%) 26.7Kg(78%) BMI 17.1(68%)

 

양방에서 혈액 검사상 별 이상은 없다고 하는데,

밤에 자기 전 8:30분쯤에 30분 정도 발열 오한.

새벽 2시쯤 1시간 정도 발열 오한.

발열시 체온은 38~39도 정도.

 

열이 나지 않는 시간에는 체온도 정상이고 전혀 이상이 없다.

복진, 맥진 특이 사항 없음.

 

예전같으면 별 생각없이 소시호탕 줬겠지만,

조영보 선생의 의론에 의거하여 계지1.5마황1.0탕을 투약.

(한의원에 있는 계지탕은 1.5배방이고, 마황탕은 1배방이라서)

1회 복용시 용량은 [마황2 행인2 육계5 작약3 생강3 대조4 감초2.7]

 

내원 당일 위 용량으로 2회 복용 후 불명열 소실.


√ 만 7세 5개월 남아의 상세불명의 발열

115.5cm(3.5%) 18.7Kg(3%미만) BMI 14(5.1%)

 

2022.07.05

2주 동안 밤에만 37~38도 정도의 열이 났었는데, 오늘은 아침부터 열이 나면서 머리가 아프다고 한다. 현재 체온은 38.2도. 해열제는 안 먹였다.

 

밤에 열이 날 때는 아이가 추워하면서 이불을 덮는다.

그 사이에 병원에 한번 갔었는데, 별 조치는 없었다.

 

하루 주기로 밤에만 열이 나고 있다면 소시호탕을 처방했겠지만, 내원한 당일에는 하루 종일 발열과 동시에 오한을 호소하는 상태.

오후 2시에 한의원에 있는 계지1.5마황1.0탕(계지탕1.5배방과 마황탕1배방을 섞어서 복용하도록) 상비약을 3일분 처방.

[마황4 행인4 육계10 작약6 생강6 대조8 감초5.3 /일;2분복]

 

2022.07.06

어제 내원 이후로 오늘 오후까지 계속 39도 정도의 열이 있었고 오한이 있었는데, 오후 5시쯤 37도 정도로 열이 떨어졌다. 지시대로 해열제는 먹이지 않았다.

 

2022.07.08

2일전 열이 떨어진 이후로 기침도 전혀 없고 컨디션 양호하다.

엄마가 보기에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는 전혀 다르다.

 

2022.07.11

특이 사항 없고 상태 양호.


√ 第36案 桂枝二麻黃一湯證 계지이마황일탕증

王右, 6월22일. 한열왕래(寒熱往來)의 증상이 하루 두 차례씩 나타나니, 곧 仲景께서 桂枝二麻黃一湯을 쓰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신 證이다. 어떤 의사가 앞서 소시호탕(小柴胡湯)을 썼는데, 본래 잘못된 것은 아니나 한 수가 모자랄 따름이다.

계지5錢 작약4錢 생강3錢 마황2錢 행인5錢 생강3片 대조5枚

 

[佐景按] 병자가 이 처방을 복용한 다음 이불을 덮고 누워 있으면 잠시 후 열과 함께 온몸에 땀이 나면서 병이 낫게 된다. 또한 약을 복용하는 시간은 대략 寒熱의 발작이 있기 한두 시간 전이 가장 좋다. 仲景의 법에 따르면, 發熱惡寒이 하루에 두 차례(發熱이 두 차례 있는 것이지 發熱과 惡寒을 합해 두 차례임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부터 십여 차례까지 발하는 경우는 모두 太陽病이다. 만약 하루에 한 차례 발하거나 3일 정도만에 한 차례 발하는 경우는 모두 少陽病이다. 少陽病은 먼저 惡寒이 있은 후 發熱이 있는 경우가 많지만, 瘧證과 유사한 太陽病의 경우는 오히려 먼저 發熱이 있은 후 惡寒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大論에서 少陽의 경우 寒熱往來라 하고 太陽如虐의 경우 發熱惡寒 熱多寒少라 한 것을 보면 그 안에 깊은 뜻이 들어있는 것이다. 그 치법을 말하자면 少陽病에는 柴胡劑를 쓰는 것이 마땅하고 太陽病에는 桂麻劑를 쓰는 것이 마땅하니, 이는 임상을 통해 충분히 그 타당함이 입증된 것이다. 만약 그 법에 반하여 柴胡劑로 寒熱이 하루에 몇 차례씩 발하는 太陽如瘧의 證을 다스리려 한다면 매번 아무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桂麻劑를 寒熱이 하루에 한번 발하는 少陽病에 쓰면 간혹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몰라도 결국은 제대로 된 치법이 못되는 것이다. 대개 少陽病의 病所는 임파선에 치우쳐 있고, 太陽病의 病所는 汗腺에 치우쳐 있어 表裏가 서로 다르니, 이로 인해 그 처방이 나뉘게 되는 것이다.

吉益東洞은 方極에서 말하기를, “桂枝二麻黃一湯은 桂枝湯證을 다스리는 면이 많고 麻黃湯證을 다스리는 면은 적다. 桂枝麻黃各半湯은 桂枝湯과 麻黃湯의 두 方證이 반반씩 있는 경우를 다스린다.”라고 하였다. 이 말은 그럴 듯하나 틀린 것으로, 사람들로 하여금 판단을 흐리게 할 뿐이다. 나는 證에 따라 方을 쓸 따름이니, 發熱과 惡寒이 같이 나타나면서 有汗인 경우는 桂枝湯을 쓰고 無汗인 경우는 麻黃湯을 쓴다. 發熱과 惡寒이 각기 발하면서 두 차례로부터 십수 차례까지 발하는 경우는 桂枝二麻黃一湯 등의 처방을 쓴다. 이처럼 그 차이가 분명하니 절대로 혼란스럽지 않은 것이다.

 

[曹穎甫曰] 少陽病이 太陽病과 다른 것은 증상이 발함에 사이를 두는 것이다. 만약 증상이 하루에 두 차례 발하거나 두세 차례 발한다면 사이가 없는 것이다. 太陽病이 陽明病과 다른 점은 惡寒이 있다는 것이다. 만약 發熱만 있고 惡寒이 없다면 곧 陽明病이라 할 수 있을 뿐 太陽病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發熱과 惡寒이 하루 사이에 지속적으로 교대되는 것은 太陽病임을 알 수 있다. 寒熱이 발하되 病이 없는 것처럼 간극이 나타나는 것은 少陽病이니, 이 점이 麻黃湯과 桂枝湯을 함께 쓰는 것과 柴胡湯만을 쓰는 것의 차이라 할 수 있다. 병리가 분명해지면 證에 따라 약을 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지금 의사들이 함부로 과학이란 걸 들먹이는데, 五行八卦에 얽매여 있는 자들만큼이나 한심한 무리들이다.

- 은석민 역, 경방실험록, 조영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