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과 Q&A/성장, 성조숙증, 조기사춘기

늦게 크는 아이 vs. 원래 작은 아이 (광주 순천 광양 여수 성조숙증 조기사춘기 성장치료 아이앤맘 한의원)

by 키다리원장님 2022. 9. 28.

아이앤맘 한의원 블로그의 모든 글은 광고대행업체나 직원이 아닌 김진상 원장 본인이 직접 작성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앤맘 한의원 원장입니다.

성장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 해보려고 합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살펴보시려면,

 

☞ 키다리 원장님, 유전이 키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인가요?

 

오늘은 조금 전문적인 내용입니다. 

하지만 관심이 있는 분들이 천천히 읽어보면 재미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1. 성장의 수로화(canalization) 특성

☞ 지난 시간에 소아지방변증(celiac disease)을 앓았던 아이의 실제 성장곡선을 보여드렸는데요, 여기 등장하는 3개의 곡선 역시 실제 성장을 기록한 곡선입니다.[각주:1] 

 

<그림 A> 평균적(average) 속도로 자란 아이 

 


<그림 B> 빠르게(early) 자란 아이; 사춘기가 빨리 온 아이(조기사춘기)

 

<그림 C> 느리게(late) 자란 아이; 사춘기가 늦게 온 아이

 

위 세 개의 그래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그림 A>는 평균적으로 자란 아이의 성장곡선입니다.

표준 성장도표는 횡단면(cross-sectional)적인 평균이므로 한 개인의 개별적이고 종적(longitudinal)인 성장 특성을 정확히 반영할 수는 없지만( 이 부분은 어려운 내용이므로 이해가 안 가시면 통과!)[각주:2]대략적으로 어렸을 때부터 50% 백분위 라인을 잘 따라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그래프에서 가장 큰 기울기를 보이는 PHV(peak height velocity; 가장 잘 자라는 시기)는 대략 12세 경으로 보입니다.

 

<그림 B>는 사춘기에 일찍 들어가서 일찍 성인키에 도달한 아이의 성장곡선을 보여줍니다. PHV는 대략 10세 초반으로 보입니다. 일찍 사춘기에 들어갔기 때문에 급성장기 초반에 성장도표의 백분위 라인을 벗어나 반에서 키가 큰 아이였지만 이후 성장이 둔화되면서 50% 성장곡선에 수렴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림 C>는 사춘기가 늦게 시작되어 늦게 자라는 아이의 성장 곡선입니다. PHV는 대략 14세 초반으로 보입니다. 늦게 자라므로 다른 아이들이 사춘기에 들어가는 시기에는 백분위 라인에서 많이 처져서 반에서 작은 아이였지만, 결국 나중에는 다 따라잡아서 50% 백분위 라인에 도달합니다.

 

세 여자 아이들은 모두 유년기(만4~5세)에 대략 50% 백분위 라인에 서있었습니다. 그리고 빨리 자라고, 늦게 자라고, 평균적으로 자란 차이는 있지만 결국 도달한 곳은 50%(한국 여성에서는 160.5cm에 해당)로 비슷합니다.

 

이와 같이 자라는 속도의 차이는 있지만 백분위 라인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성장의 특성을 성장의 수로화(canalization)라고 합니다. 1957년에 영국의 유전학자 C. H. Waddington가 발견한 내용입니다.

 

이러한 성장의 수로화(canalization) 특성이 무엇을 말해줄까요?

 

방해 요인이 없는 경우 대부분의 아이들은 만2~3세 경이면 출생 시 키나 체중에 상관없이, 따라잡기 성장(catch-up growth)이나 뒤처지기 성장(catch-down growth)을 통해서 대략 자신이 실현할 수 있는 “키의 가능성”을 성장 도표에 반영합니다. 그 시점부터 성장 속도에 큰 변위가 없는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그 아이의 “키의 가능성”을 충분히 엿볼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일종의 "시드 배정"과 비슷합니다.)

 

또 하나, 제가 지금까지 누누이 말씀드린 내용과도 일맥 상통합니다. 만8세 이전에 성징이 시작되는 성조숙증의 경우가 아니라면, 아이들은 빨리 크든, 늦게 크든 알아서 자기의 목표키에 도달합니다.

(☞ 키다리 원장님, 사춘기가 빨라지면 성인키가 작아지나요?)

 

성장이 조금 빠르고 가슴 멍울이 일찍 생긴 아이들은 사실 '성조숙증'이 아니라 거의 대부분 아무런 치료가 필요없는 '조기사춘기'입니다. 부모님께서 안달내거나 '성조숙증 공포마케팅'에 휘둘릴 필요가 없습니다.

(☞ 키다리 원장님, 성조숙증과 조기사춘기는 뭐가 다른가요?)

 

2. 늦게 크는 아이 vs. 원래 작은 아이
지금까지 설명드린 성장의 수로화(canalization) 특성을 벗어나는 예외적인 경우가 체질성 성장지연(CDG; constitutional delay of growth)입니다. 흔히 말하는 늦게 크는 아이입니다. 
 
주변에 보면 간혹 '누구 아빠는 군대에서도 키가 자랐다'는데 혹은 '누구 엄마는 고등학교 때에도 계속 키가 컸다'던데, 그런 말들이 있지요?
 
다음의 성장 곡선을 살펴보실까요?
 

 

http://www.endotext.org/chapter/normal-and-abnormal-puberty/ped13fig7/

Figure 7. Growth curve of a boy with constitutional delay showing slower growth in the peripubertal time and then achievement of the normal range by the end of the growth process. The growth velocity curve is shown with a more attenuated and lower increase at puberty.

 

 

이 아이가 바로 늦게 크는 아이(체질성 성장지연)의 전형적인 경우입니다. 
이 남자 아이의 경우 성장도표의 3% 라인 이하를 따라가다가 사춘기에 늦게 진입하고 이후 성인이 되어서는 최종적으로 대략 25% 정도에 도달합니다. 한국 기준 백분위로 말씀드린다면 매우 작은 예상키인 163cm(3%)에서 시작해서, 나중에는 대략 170cm(25%) 정도로 커진 경우입니다.
사춘기 전에 뼈나이가 2년 정도 느린 것에 주목하세요. 사춘기에 진입하면서 역연령(만나이)과 뼈나이의 격차가 줄어드는군요.
 
위 그래프 우측 하단의 성장 속도를 살펴보죠. 만약 이 아이가 평범하게 3% 속도라인을 따라간다면 가장 아래쪽의 속도 라인을 타고 가야 합니다. 그런데 우측 하단 그래프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경우와는 달리 자라는 속도도 3%보다는 좋고, 사춘기가 늦어지면서 자라는 기간도 길게 늘어집니다. 즉, 고등하고 졸업하고 군대에 가서도 크는 거죠.
 
체질성 성장지연(CDG)의 경우 출생 시 키와 체중에 상관없이 대략 만 2세가 되면 성장도표의 3%라인이나 그 이하에 자리를 잡고 대략 그 라인을 죽 따라갑니다. 다른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일년에 5~6cm 정도는 꾸준히 큰다는 말이죠.
 
체질성 성장지연은 남자에게서 훨씬 흔합니다(남:여 비율은 10:1 정도). 사춘기가 지연되는(delayed puberty) 가장 흔한 원인(80~90%)이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70~80%)입니다. 쉽게 말해서, 아빠 혹은 엄마가 늦게 자란 겁니다. 최종키는 대부분 TH(목표키; Target Height)[각주:3]의 아래쪽으로 나타납니다. 즉, 대략 이야기해서 ☞MPH(중간 부모키)를 넘어서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다음의 그래프도 역시 체질성 성장지연(CDG) 여아의 성장 그래프입니다.[각주:4]
 


위 여아의 경우 유년기에는 3%에 훨씬 못 미치는 너무나 작은 아이였는데 최종키는 50%를 넘어섰네요. 체질성 성장지연이라고 해서 항상 이 정도로 최종키가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 경우는 부모님의 키가 커서, TH(표적키)가 75% 백분위로 매우 높기 때문에 최종신장에서 좋은 결과를 보인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체질성 성장지연에서와 마찬가지로 TH(목표키)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년기에 3~5%에서 맴도는 아이들의 경우 가족형 저신장증(FSS; familial short stature)인 경우가 많습니다. 늦게 크는 아이가 아니라 원래 작은 아이인 것입니다. TH(목표키)도 작고 최종적으로도 작은 키가 되는 것이지요.
성장 곡선을 볼까요?

 

처음에 5%로 시작해서 마지막도 5%로 끝나는군요. 부모님의 키가 작아서 유전적인 예상키(TH)도 원래부터 그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체질성 성장지연(CDG; 늦게 자라는 아이)과 가족형 저신장증(FSS; 원래 작은 아이)은 어떻게 구분할까요?

 

체질성 성장지연(CDG)은 역연령(만나이)에 비해서 뼈나이가 상당히 어리고, 사춘기에도 매우 늦게 들어갑니다. 추정 진단기준을 보면 남아의 경우 만15.6세까지도 고추에 솜털(PH2)이 나지 않고, 여아의 경우 만13.3세까지도 가슴 멍울(B2)이 잡히지 않습니다.[각주:5]

 

가족형 저신장증(FSS)은 뼈나이와 역연령이 거의 일치하고, 사춘기도 정상적인 범위에서 들어갑니다. 

체질성 성장지연(CDG)이 가족형 저신장증(FSS)의 틀 안에서 일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당연히 늦게 크면서도 최종키는 매우 작아집니다.

 

키가 작고 유년기에 뼈나이가 살짝(0.5~1년 정도) 어렸지만 뼈나이가 점점 빨라지면서 사춘기에 일찍 들어가거나, 보통 시기에 들어가는 아이들은 체질성 성장지연(CDG)이 아닙니다. 안타깝지만, 이런 아이들은 그냥 작은 키로 끝날 가능성이 높습니다(FSS).

 

마지막으로 체질성 성장지연(CDG), 가족형 저신장증(FSS)와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성장호르몬 결핍(GHD; growth hormone deficiency)입니다. CDG, FSS는 질병이 아니지만 GHD는 질병이죠.

 

 
성장호르몬 결핍(GHD)이 CDG, FSS와 가장 다른 점은 성장도표의 백분위 라인을 평행하게 따라가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체질성 성장지연(CDG), 가족형 저신장증(FSS)의 경우는 비록 키가 작기는 하지만 일년에 5~6cm씩 자라서 대체로 백분위 라인을 평행(parallel)하게 따라갑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성장호르몬 결핍(GHD)의 경우, 유아기(infancy)에는 뚜렷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유년기(childhood)가 진행될수록 성장 속도가 둔화되면서 백분위 라인을 따라가지 못합니다. 물론 뼈나이도 역연령(만나이)보다 어리게 나옵니다. 그리고 성장 호르몬은 지방분해 효과가 있기 때문에, 성장 호르몬이 결핍되면 체간 비만(truncal adiposity)의 경향을 보입니다.
 
세 경우 모두 출생 시 키와 체중에 상관없이 대략 만 2세가 되면 성장도표의 3%라인이나 그 이하로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잡기 성장(catch-up growth)이 아니라 “뒤처지기 성장”(catch-down growth)이 일어나는 것이죠.
 
3. 성장 호르몬 치료를 받아야 할까요?
특발성 저신장증(ISS; Idiopathic Short Stature)은 특별한 원인이 없이 키가 3백분위수(3%) 미만이거나 -2SD(표준편차) 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 대부분의 특발성 저신장증(ISS)은 체질성 성장지연(CDG)이나 가족형 저신장증(FSS)입니다. 늦게 자라거나, 원래 작은 아이들이죠. 
체질성 성장지연(CDG)과 가족형 저신장증(FSS)은 병은 아닙니다. '늦게 크는 아이'이거나 '원래 작은 아이'입니다.
 
성장 호르몬이 결핍된 질환(GHD)은 당연히 성장 호르몬 치료를 하면 좋은 효과를 보이고 여기에는 이론(異論)이 없습니다. 보험 적용도 됩니다. 하지만 특발성 저신장증(ISS)의 경우, 연간 성장 속도는 정상 범위이고 성장 호르몬 레벨에도 이상이 없습니다. 그러니까 특발성(idiopathic; 원인불명)이죠.
 
이런 경우 성장 호르몬 치료를 하는 것은 효과와 안정성에 있어서 논란이 많습니다. 비용도 많이 듭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주[각주:6][각주:7][각주:8][각주:9][각주:10][각주:11]의내용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성조숙증이나 조기사춘기에서의 GH 사용에 대한 내용도 일부 포함)
 

☞ 키다리 원장님, 유전이 키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인가요?

☞ 늦게 크는 아이 vs. 원래 작은 아이

 

글 : ☞ 키다리원장님을 소개합니다.

 

☞ 아이앤맘 한의원 진료 안내

 

광주 순천 여수 광양 난치병 한방치료

순천 아이앤맘 한의원

www.imom123.com

진료예약  061-726-0023

소아질환 · 여성질환 · 난치질환 한약치료

 

 

  1. N. Cameron,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AP, 2002, p.16 [본문으로]
  2. INDIVIDUAL VERSUS AVERAGE GROWTH
    Much of our knowledge on children’s growth comes from longitudinal studies, that is, data comprising series of growth measurements of the same subjects over time, allowing to establish part or the whole of the individual growth pattern.
    However, the great majority of growth studies are cross-sectional; that is, based on single growth measurements taken from individuals who differ in age. Crosssectional growth data allow to estimate the central tendency and variation of growth variables at each age in the population and to construct smooth centile lines showing the “average” growth and the limits of “normal” variation in that population.
    These centile lines form the basis of growth standards and reference curves (see Chapter 18). Despite the immense merits of cross-sectional growth surveys in constructing growth standards and in epidemiological studies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volved in growth, they can give only a static picture of the population variation in growth variables and are hopelessly weak in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ynamics of individual growth patterns over time. (중략)
    This illustrates that the pattern of individual growth differs a lot from the pattern of cross-sectional mean growth, especially during adolescence.
    - Ibid., p.54 [본문으로]
  3. MPH±8.5cm(여아), MPH±10cm(남아)를 표적구간(target range)이라고 부른다. 
    95%의 아이들의 최종키가 이 구간으로 나타난다.
    - Chris Kelnar, Growth Disorders 2E, CRC Press, 2007, p.214 [본문으로]

  4. Hay, Current Diagnosis & Treatment Pediatrics, Lange, 19th Ed., 2009, Fig 32-3 [본문으로]
  5. CRITERIA FOR PRESUMPTIVE DIAGNOSIS OF CONSTITUTIONAL DELAY OF GROWTH AND MATURATION (TABLE 23-11)
    1. No history of systemic illness
    2. Normal nutrition
    3. Normal physical examination, including body proportions
    4. Normal thyroid and GH levels
    5. Normal complete blood count, sedimentation rate, electrolytes, blood urea nitrogen
    6. Height at or below the 3rd percentile, but with annual growth rate greater than 5th percentile for age
    7. Delayed puberty
    Males: failure to achieve Tanner G2 stage by age 13.8 years or P2 by 15.6 years
    Females: failure to achieve Tanner B2 stage by age 13.3 years
    8. Delayed bone age
    9. Normal predicted adult height : Males: &gt;163 cm (64), Females: &gt;150 cm (59)
    -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11th Ed., 2008, CHAPTER 23 – NORMAL AND ABERRANT GROWTH [본문으로]
  6. 가족형 저신장증(FSS)의 경우, 유년기의 성장 분포는 5% 백분위 이하이지만, 성장 속도는 보통 정상적이다. 사춘기의 시작과 진행은 정상적이며, 혹은 심지어 약간 이르고 진행이 빠르다(even slightly early and more rapid). 뼈나이와 역연령은 거의 일치한다. 부모님들은 키가 작지만(일반적으로 엄마와 아빠 모두 10%이하) 사춘기의 성숙은 정상이었다. 이러한 아이들의 최종키는 작으며 목표신장 영역(target zone for the family)으로 떨어진다. 성장호르몬-인슐린양성장인자(GH-IGF) 시스템은 정상이지만, 유년기 중반에 외부로부터 성장호르몬을 투여하면 성장속도를 현저하게(substantially) 올릴 수 있으며, 비정상적으로 뼈나이를 증가시키지도 않는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성장호르몬치료가 최종키를 증가시킬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11th Ed., 2008, CHAPTER 23 – NORMAL AND ABERRANT GROWTH) [본문으로]
  7. 특발성 저신장증의 많은 아이들은 1-2년 동안 성장호르몬 사용 후 신장 증가가 관찰된다. 그러나 최종성인키의 증가 유무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다. 성장호르몬 치료 효과에 대한 이제까지의 발표들을 종합한 Cochrane 보고에 의하면 첫 해에는 성장속도가 사용하지 않은 아이에 비하여 2.86 cm 정도 증가하고, 평균 5.3년간 성장호르몬을 사용하였더니 최종성인키가 4-6cm커졌다. 최종성인키의 증가 효과는 성장호르몬 용량이 높을수록, 최종성인키에 도달할 때까지 써야 나타난다. 저신장증 아동이 성장호르몬 치료 후에 심리적 이득을 얻을 것이냐에 대해서도 일관된 결론은 없다.
    - 성장 호르몬치료의 최신지견, 대한소아과학회지, 2006 [본문으로]
  8. 특발성 저신장증에서 성장호르몬 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는 그동안 논란이 많았으나 1999년 성장호르몬 0125 IU/kg/day (03mg/kg/wk)을 2년에서 10년까지 장기간 치료하여 최종 성인키에 도달한 특발성 저신장증 80명의 환자를 분석한 연구에서 치료 전 신장 표준편차가 -2.7SD(0.35%)에서 치료 후 최종 성인키의 -1.0SD(15.9%)로 호전되었으며 최종 성인키와 치료 전 예상키의 차이가 남자에서 5cm, 여자에서 5.9cm로 최종 성인키가 증가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치료효과에서 개인간의 차이가 심하여 일부에서는 뚜렷한 효과가 없다는 보고도 있다. 미국의 FDA에서는 2003년에 특발성 저신장증 중에서 키가 같은 연령, 같은 성별의 평균보다 -2.25SD(1.2%) 미만인 경우, 최종 예상 성인키가 남자는 160cm, 여자는 150cm 미만일 때 치료를 인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특발성 저신장증의 성장호르몬 치료는 치료 시작 시 연령이 어릴수록, 저신장 정도가 심할수록, 치료기간이 길수록, 성장호르몬 치료 용량이 많을수록 치료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저신장 소아의 성장호르몬 치료 - 성장호르몬 치료의 득과 실, 대한의사협회지, 2008 [본문으로]
  9. 미국과 다른 7개 나라의 보건당국은 2.25SD(1.2%) 미만인 특발성 저신장 아이들에서 성장호르몬 치료를 승인했다. 반면 다른 국가들에서는 더 낮은 기준(lower cutoffs)이 제시되었다. (중략) 특발성 저신장(ISS)의 아이가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을 경우 성인키의 증가는 평균 3.5-7.5cm 정도이며, 평균 치료기간은 4-7년이다. 아이들에 따라서 성장호르몬 치료에 대한 반응은 매우 가변적이다.
    http://jcem.endojournals.org/content/93/11/4210 [본문으로]
  10. 조기사춘기 여아에게 GnRHa와 GH의 병합치료를 시행했을 때, 골연령의 증가 속도와 성장속도가 감소하고, 혈청IGF-1이 증가함으로써 예측성인신장이 의미 있게 증가하며 표적키에 가깝게 증가한다. 또한 IGF-1의 변화를 보면 초경을 시작하지 않은 조기사춘기 여아가 초경을 시작한 경우보다 성장획득에 대한 가능성이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
    - 홍은전, 한헌석, 예측성인신장이 작은 조기사춘기 여아에서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효능약제와 성장호르몬 병합치료의 성장획득 효과,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0, No. 7, 2007 [본문으로]
  11. (성조숙증 환아에 GnRHa 치료를 시행할 때) 성장속도가 심하게 감소하거나 최종키에 대한 예후가 불량한 경우 보조 치료로 성장호르몬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입양된 여아의 성조숙증 또는 조발 사춘기에 대한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 GnRHa에 성장호르몬을 병합 치료한 결과 유의한 최종키 향상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진성 성조숙증의 GnRHa 치료에 성장호르몬을 보조 치료하는 것에 대한 대단위, 무작위, 대조 연구는 아직 없으므로, 현재로서 성장호르몬 보조 치료가 일상적으로 추천될 수는 없다.
    - 성조숙증 진료지침,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1 [본문으로]